Happy Present Meet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 근대의 음조와 그 타자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는 문화연구의 층위에서 음악을 재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사회나 문화, 그리고 정치적 관계와 같은 음악 외적 사실을 도외시한 채 음악 형식이나 음악작품을 논하고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식의 관점을 무너뜨린다.
~ 목 차 ~
머리말 5
1장. 감성적 소통의 체계로서의 음조와 음조성
1. 성(소리)과 음 : 음조 개념의 문화론적 재인식을 위하여 17
가. 음악이론과 개념의 해체 17
나. 성과 음의 경계 21
2. 음조성에 내재된 문화적 관습화와 규범화의 논리
가. 용어의 문제 : ‘조성’에서 ‘음조성’으로 31
나. 음조성의 자연적 근거 31
다. 음조성의 문화적 근거 44
2장. 기능화성적 음조성의 확립과 서구 음악의 근대적 전환
1.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 53
가. 음조성과 문화적 규범의 변화 53
나. 구술문화의 모드 음조성 58
다. 문자문화의 기능화성적 음조성 63
2. 기능화성적 음조성과 음악적 근대의 조건 69
가. 모드 음조성과 암시적 시공간 69
나. 음악적 명시화와 절대 시공간의 탄생 75
다. 기능화성적 음조성의 구조적 확립 80
3장. 기능화성적 음조성의 헤게모니와 음악적 근대성
1. 기능화성적 음조성에 반영된 근대적 주체와 객체 89
가. 원근법적 세계와 음악적 풍경의 발견 89
나. 기능 음조적 화성과 ‘재현양식’ 96
다. 음악적 근대성과 화해의 이념 102
라. 음악적 자율성과 음악작품의 탄생 107
2. 기능화성적 음조성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타자의 담론 112
가. 평균율과 음악적 자연지배 112
나. 음악적 젠더, 혹은 음악적 타자의 형성 118
다. 음악 공동체의 분열과 절대적 타자로서의 무음조성 126
4장. 대중매체 시대의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1. 매체의 변화와 2차적 구술시대 137
가. 재생기술과 대중음악 137
나. 대중매체와 2차적 구술시대 141
2. 음조성의 탈중심화와 탈근대의 음악 148
가. 작품에서 연행으로 - 상대적 타자로서의 음조성 148
나. 블루스 음악의 상호주관적 음조성 155
다. ‘대중음악’ 혹은 토착어 음악의 문화정치학 160
맺는말 167
보론
1. 대중음악과 민중음악 사이 ? 김민기의 매체 실험, <공장의 불빛> 173
2. 잡종음악의 오리엔탈리즘 ? 뮤지컬 <미스 사이공>의 경우 191
3. 1930년대 한국 도시 음악 문화의 식민적 근대성과 월드뮤직 퍼스펙티브 213
참고문헌 232
주 석 238
찾아보기 268
저자 최유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