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음악사 로고

Sheet Music

Happy Present Meet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25
정상가

10,000

할인가

0

출판사 예솔
포인트 300
상품상태 재고없음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25



예술 현장을 더욱 넓히고, 동시에 예술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화하려 했다. 음악가의 모델이 계속해서 달라지고 있는 지금, 음악가의 활동 무대와 활동 방식 또한 이전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특집 인터뷰'에서는 오작에서 간헐적으로 언급됐지만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전자음악의 여러 갈래를 살폈다.


모두 전자음악이라 통칭되지만 그 안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활동하고 있는 여섯 전자음악가에게 같은 형식의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서로 다른 답을 한데 모았다. 이번 인터뷰는 전자음악가들의 다양한 툴과 제각각의 사고방식을 확인하는 정도에 그쳤지만, 앞으로 이들이 활동하고 있는 전자음악의 여러 무대, 그리고 그 무대에서 펼쳐지는 일들을 보다 깊이 파헤치는 시간이 이어질 것이다.




~ 목 차 ~



【특집 인터뷰】

전자음악의 여러 갈래

― 가재발ㆍ예츠비ㆍ오예민ㆍ윤지영ㆍ임용주ㆍ장희진


【흐름과 진단】

전지영 치유와 위로: 예술적 목표와 효과의 혼동

성연주 기획자이자 예술가를 요구하는 ‘시대’에게

윤무진 미래에 가닿을 지금을 기록하기: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작곡가 아틀리에’

성혜인 무주지(無主地)로서의 국악


【작가와 작품】

조성우 민족음악의 또 다른 갈래, 조념의 삶과 음악

이소영 김성국의 서사와 장단

정이은 조화로움과 낯섦의 경계에서: 작곡가 배동진 인터뷰

박인혜 나를 둘러싼 환경, 자극과 거리 두기: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와 <판소리 쑛스토리>를

중심으로

김택수 미국 내 한국계 작곡가들


【창작의 현장】

이예지 지금-여기의 창작 오페라를 향하여: 오페라 <3과 2분의 1A>와 <이상의 날개>

황정원 조선 최초 오페라를 다룬 뮤지컬 <일 테노레>

이민희 긴 시간에 걸쳐 펼쳐진 독특한 작곡의 궤적: 퍼커셔니스트 박동욱 구순 기념음악회

박해진 반복과 연결: 수림뉴웨이브 2024 《독파》

백소망 창작 소리극을 경유하는 몇 가지 질문들: 바닥소리 <체공녀 강주룡>과

창작하는 타루 <두아: 유월의 눈>

주정현 대화의 방법으로 풀어낸 실험과 확장의 가능성:

음악공간 중력장 상주단체 ‘모나드 서울’의 <각을 세우다> 리뷰


저자 모임 ‘오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