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ppy Present Meet
Korean Folk Tunes - 20 Traditional Pieces for Violin (with CD)
editor: 양방언 (Ryo, Kunihiko)
<b>1. Folk Dance Under the Full Moon - 강강술래</b>
전라도민요인 강강술래는
보름날 밤에 여러 사람들이 손을 잡고 둥근 원을 만들어 뛰어 놀던 놀이이다.
지역에 따라 남자들이 함께 놀았떤 곳도 있지만 주고 여자들에 의해 놀아졌다.
<b>2. A Country Girl`s Love Song - 강원도 아리랑</b>
엇모리 장단에 의한 5음음계 곡으로써 가장 높은음으로 시작하여 차차 낮아지는 형식이며,
산골처녀의 사랑의 하오연답게 느리고 구슬픈 느낌을 주는 노래이다.
<b>3. Chestnut Rhythm - 군밤타령</b>
조선후기에 생긴 민요로 장단은 4박자 자진타령이며, 5음계 구성이다.
이 노래의 특징은 5개의 장단이 한악절을 구성하게 되어 있으나,
이것을 4장단에 몰나붙여 불러 가락이 장단마다 변화하여 매우 활기차고 해학적으로 들린다.
<b>4. Pheasant Hunt Ryhthm - 까투리타령</b>
지리산, 계룡산, 삼각산, 문경새재, 금강산 등 명산을 찾아다니며,
꿩 사냥을 하는 모습을 표현한 노래이고
4박자의 자진모리장단의 빠르고 경쾌한 노래이다
<b>5. Flower Song for a Spring Festival - 꽃타령</b>
자진모리 장단이 빠르고 흥겨운 노래로
봄철 아낙네들이 동산에 올라 봄놀이를 하며 부르기도 하고,
시집간 딸이 친정 어버이의 생신을 맞아 친정에 들러 경축하면서 부르기도 하였다 한다.
여러 꽃이름을 들며 그 꽃의 빛깔, 향기, 모양 등을 그린 노래
<b>6. Nostalgic Feeling - 닐리리야</b>
조선 후기에 생긴 신민요이며, 12박의 굿거리 장단으로 부른다.
본래 무당들이 굿을 할 때 부르던 무가 <창부타령>에서 전화된 노래로
일제강점기 때는 피압박 민족의 비애와 분노를 담은 애절한 호소의 노래가 되기도 하다.
<b>7. Bellflowedr Song - 도라지</b>
조선후기에 생긴 신민요로 세마치당단에 의한 5음음계 구성이며,
리듬이 경쾌하고 부드러워 서정적 느낌을 주며 서울 경기지역에서 많이 불려온다.
<b>8. Plum Tree - 매화타령</b>
경기잡가의 하나인 <달거리>의 후반부에 부르는 것으로써 매화가라고도 하는데,
느린 4박의 굿거리장단에 의한 경쾌한 노래로 가사 중의 배화는 꽃이 아니라 기명이다.
<b>9. A Fishermans`s Life - 몽금포타령</b>
황해 장연지방에 있는 몽금포 어항의 정경, 고기잡이생활의 낭만을 엮은 노래로 가볍고 경쾌하다.
그러나 잘게 꺾어 넘어가는 부분에서는 어딘지 모르게 애수가 감돈다.
느린 12박의 중모리장단으로 부른다.
<b>10. Folk Song From Mirang - 밀양아리랑</b>
옛날 밀양 사또의 외딸 아랑이 젊은 통인의 요구를 뿌리치다가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것을 슬퍼하며 `아랑 아랑` 하고 노래를 부른 데서 비롯하였다 하며,
경상도지방에 널리 부르는 민요이다.
3박자의 세마치장단으로 생동적인 장단이 매구 꿋꿋하고 경쾌하게 들리는 특색을 지녔다.
<b>11. Song of the Backyeon Waterfall - 박연폭포(개성난봉가)</b>
개성난봉가라고도 한다. 12박의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사설을 서로 주고받으며 부른다.
리듬이 처음에는 길게 끌다가 차차 짧게 세분되어 마치 폭포에서 물이 떨어지는 느낌을 준다.
<b>12. Good Harvest - 풍년가</b>
<풍년가>는 60여년전 구자하라는 소리꾼에 의하여 비롯된 것이며,
12박 굿거리 장단으로 서울 경기지방에서 많이 불리우는 흥겨운 노래이다.
<b>13. Bird Tayyeong - 새타령</b>
봉황새, 풍년새, 앵무새 등 온갖 새들의 모습, 울음소리 등을 묘사한
재미있는 내용으로 통절형식이나 대개는 2장단이 1가락을 이룬다.
노래는 12박의 중중모리장단에 맞춰 처음은 비교적 평탄하게 부르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고조된다.
<b>14. Butterflies in the Tummy - 신고산타령</b>
한국 개화기의 민요로서
현대문명에 대한 반발과 시골 처녀의 마음이 들뜨기 시작한다는 내용으로 되었다.
함경도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민요로 장단은 자진타령이고, 가락은 메나리조이며
애절하면서도 구성지고 씩씩하게도 들린다.
<b>15. Folk Song - 아리랑</b>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로 어느 때부터 불리기 시작하였는지 확실하지 않다.
남녀노소 사이에서 가장 널리 애창되는 이 노래의 기본 장단은
세마치 장단으로 우리의 정서에 알맞고,
내용도 한말에서 일제감정기를 통하여 이 겨레의 비분을 표백한 것으로
지방에 따라 여러가지 별조 아리랑이 불리며, 장단과 사설도 매우 다양하다.
<b>16. The Brightness of the Moon - 쾌지나칭칭</b>
`쾌지나칭칭`은 경상도 민요 <월이 청청> 에서처럼 달이 밝다는 뜻으로 보고 있다.
중중모리장단에 맞는 느린 것과 자진모리장단에 맞는 빠른 것으로 변화되어 점차 흥이 고조된다.
한 사람이 사설로 메기면
여럿이 `쾌지나칭나네`라는 후렴으로 받는 끝이 없고 재미있는 군창이다.
<b>17. Folk Song from Jindo - 진도아리랑</b>
진도지방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한다.
<아리랑>의 별조로 <밀양아리랑>과 비슷하다.
다른 아리랑과 달리 도서지방의 지역성과 부인들이 불렀던 부요적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
<b>18. Joyful Song - 천안삼거리</b>
흥타령이라고도 한다.
한말에 평양감사 조성하의 가렴주구를 원망한 데서 비롯된 노래라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명창 보패가 불러 유명해졌으며,
사설 사이사이에 `흥 흥`하는 조흥이 끼었기 때문에 흥타령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민요로 12박의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b>19. Changbu Rhythm Variations - 태평가</b>
한국 양악계의 선구자 정사인이 작사, 작곡하였다.
곡조는 <창부타령>을 변주한 것으로 12박의 굿거리장단으로 서울 경기지역에서 많이 불린다.
<b>20. Deep Clear Water Rhythm - 한강수타령</b>
사설의 첫머리인 `한강수 깊고 맑은 물에...`에서 노래 이름이 온 것이며,
구성지고 흥겹게 들리는 민요로서 장단은 12박의 굿거리이고 서울, 경기지역의 노래이다.
- Folk Dance Under the Full Moon
- A Country Girl`s Love Song
- Chestnut Rhythm
- Flower Song for a Spring Festival
- Nostalgic Feeling
- Bellflower Song
- Plum Tree
- A Fisherman`s Life
- Folk Song from Mirang
- Song of the Backyeon Waterfall
- Good Harvest
- Bird Taryeong
- Butterflies in the Tummy
- Folk Song
- The Brightness of the Moon
- Folk Song from Jindo
- Joyful Song
- Changbu Rhythm Bariations
- Deep Clear Water Rhythm
- Profile
- Kurzbiographie
- Discography
- CD Track List
편곡자 양방언 (Ryo, Kunihiko)
작곡가 Various
겨울왕국2 OST 피아노 연주곡집 Easy Ver(체르니 100 ~30 초반 난이도)
바이올린으로 쉽게 연주하는 디즈니 OST 베스트 (Violin Solo or Piano Reduction)
Early Start on the Violin Vol.1
Early Start on the Violin Vol.2
Albinoni Adagio for Violin and Piano
Vivaldi Summer from The 4 Seasons for Violin and Piano
포인트 어린이 바이올린 이중주 곡집 - 피아노파트보 별첨